| 디자인 | 메뉴, 인터페이스 |
기능 | 화질 샘플 | 총평 |
|
후지 파인픽스 S9500은 광학 10.7배 줌을 지원하는 고배율 줌 모델로, SLR 카메라 스타일 컨셉을 지닌 S시리즈의 최상위
모델입니다. 특히 S9500은 렌즈부를 완전 수동식으로 개선했으며, 포커스와 측광 모드를 외부 인터페이스로 노출 시키고 커맨드 다이얼을 새로
추가하는 등 이전 모델보다 더욱 SLR 카메라 스타일에 근접했습니다. 또, 하이엔드 디지탈 카메라 최초로 900만 화소급으로 제작됐으며 ISO
1600까지 고감도를 지원해 해상도와 셔터스피드 확보 능력면에서도 전문성을 추구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리뷰를 통해 S9500의 기능과 화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S9500의 전체적인 외형은 SLR 카메라와 매우 흡사합니다. 외관은 마그네슘 합금과 플라스틱을 적절히 사용해
세련되고 견고한 마무리를 보여주며, 색상은 중후한 블랙 컬러로 마감됐습니다.

S9500의 그립부는 비해 볼륨감이 크고 두꺼운 고무재질을 덧대어 손에 잡았을 때 착 달라붙는 듯한 촉감을 제공합니다. 또한,
중지가 닿는 부분을 굴곡 처리해 그립감이 매우 안정적입니다. |

|
|

|

렌즈부는 포커스 링만 채택했던 이전 S시리즈 모델과 달리 수동식 줌 링을 도입해 SLR 카메라와
같은 렌즈 조작감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수동식 줌은 동영상 촬영에도 적용돼 다양한 연출을 가능케 합니다. 줌 링과 포커스 링은 고무 재질로
마감처리됐으며, 조작시 매우 부드럽게 작동합니다.

줌 링을 돌리면 경통이 돌출됩니다. 렌즈는 후지의 후지논 렌즈를 사용했습니다. 후지논 렌즈는 일반적인 카메라에는
그동안 활용이 적었지만 중형 카메라와 영상 장비 등에 주로 사용돼 특유의 선명한 화질로 높은 인지도를 얻고 있습니다. 초점거리는 35mm 필름
카메라 환산 규격으로 28 ~ 300mm에 해당해 광각 영역에서 초망원 영역까지 넓은 화각 범위를 아우릅니다. 조리개는 최대 광각에서
F2.8, 망원에서 F4.9까지 개방가능한 가변조리개입니다. 망원에서 수치가 다소 떨어지지만 300mm 초점 거리를 감안하면 무난한
수준입니다.

뒷 모습은 DSLR 카메라와 유사한 레이아웃을 보여줍니다. 전자식 뷰 파인더, 액정 모니터, 메뉴 버튼 등이 노출돼
있으며 측광 설정이 다이얼을 통해 외부로 독립됐습니다.
S9500은 틸트형 액정 모니터를 채택했습니다. 액정 모니터는
수직 방향으로 펼쳐지며 이단 접이식으로 설계돼 하이, 로우 앵글 촬영시 편리합니다. 하지만 회전식 액정 모니터에 비해 활용 가능한 구도가
한정적입니다.
S9500에는 커맨드 다이얼이 새로 추가돼 조리개 값, 셔터 스피드, 노출값과 같은 촬영 설정을 쉽고 빠르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이얼 한 클릭씩 돌릴 때마다 느껴지는 저항감은 타 브랜드 기종에 비해 가볍습니다.
|

|
플래쉬 설정 버튼과 노출 설정 버튼이 본체 상단으로 배치돼 뒷면 버튼 배열 공간은 여유롭습니다. 따라서 카메라를 손에
잡았을 때 엄지 손가락이 다른 버튼에 닿지 않고 카메라 본체를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습니다. |

|
뷰 파인더는 전자식 뷰 파인더를 채택했으며 시도 조절 장치가 부착돼 시력에 따라 적절한 디옵터 값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

S9500에는 렌즈 후드가 기본제공됩니다. 후드는 일반적인 SLR 카메라 교환식 렌즈용과 같은
방법으로 탈착합니다.

바닥면에는 삼각대 연결 소켓과 배터리 슬롯이 있습니다. 삼각대 연결 소켓은 카메라 본체 부피에
걸맞게 내구성이 뛰어난 금속재질을 사용했습니다.
배터리는 AA형 범용 배터리를 사용합니다. 범용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부피와 무게가 많이 나가지만
외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
메모리 슬롯은 기존 후지에서 사용해오던 xD 픽쳐 카드 외에 CF 메모리를 추가 도입해 듀얼 슬롯으로 구성했습니다.
|

| |
TOP |
S9500 기본 촬영 디스플레이입니다. 뷰 파인더와 액정 모니터에 동일하게 표시되며, 현재 촬영 모드와 압축률,
해상도, 포커스 모드, 잔여 촬영 매수, 측광 모드 등 전반적인 촬영 상태를 한 눈에 알 수 있습니다. 또, 본체 뒷면에 있는 디스플레이 버튼을
누르면 격자 설정과 지난 촬영분을 함께 확인 할 수 있는 화면 구성을 보여줍니다.
이밖에 info 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모드에 상관없이 히스토그램을 로딩해 간편하게 노출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
S9500의 메뉴 인터페이스는 기존 파인픽스 모델에서 보여주던 가로방향 3단 폴더 스타일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메뉴 항목은 기본적인 촬영 설정항목(화이트 밸런스 화면 해상도, 측광, 압축률, 이미지 설정
등)으로 구성됐으며, 셋업 설정 메뉴를 한 항목으로 포함했습니다. |

|
후지 파인픽스 시리즈는 감도와 해상도와 같이 자주 변경하는 항목들을 파인픽스 포토모드로
독립시켰습니다. |

|
Neo-SLR 카메라라는 컨셉처럼, S9500은 조작 인터페이스에서 포커스, 측광, 포토 모드 등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별도 인터페이스로 독립시켜 설정 변경에 신속성을 추구했습니다. 하지만, 사진촬영 후 퀵 리뷰 버튼이 따로 없어 전원 레버를 돌려서
확인해야 했으며 삭제버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재생 모드로 일일이 들어가서 사진을 삭제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
TOP |

1. 렌즈 해상력,
색수차
S9500의 렌즈 해상력 테스트는 최대 광각과 최대 망원 초점거리에서 중앙부와 주변부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 촬영시 조리개 값은 최대 개방치(F2.8 ~ 4.9)와 최소 조임치(F8.0) 두가지로 설정했습니다. 조명은 형광등이며,
화이트 밸런스는 자동으로 설정했습니다.
28mm
 <최대 광각, F2.8>
전체적인 이미지는 특이하게도 최대 개방부가 조리개를 조였을 때보다 해상력이 더욱 뛰어났습니다.
주변부 해상력이 다소 떨어지는 경향이 있지만 최대 개방치에서 중앙부 해상력은 만족스럽습니다. 패턴 노이즈나 모아레와 같은 이상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색수차는 렌즈 주변부에서만 약간씩 발견됐습니다. |
 <중앙부>
|
 <좌측 상단부>
|
 <최대 광각, F8.0>
광각부 F8.0에서는 최대 개방치보다 화질이 다소 떨어지지만 해상력은 양호한
수준입니다. |
 <중앙부>
|
 <좌측 상단부>
|
300mm
 <최대 망원, F4.5>
최대 망원에서는 선예도가 약간 떨어지지만 전반적인 해상력은 양호한 수준입니다. 조리개 최대
개방치는 F4.9으로 조여졌으며 주변부 하이라이트 영역에서는 색수차가 확인됐습니다. 하지만 300mm 초망원영역에 해당하는 줌 이동거리를
감안하면 초점거리 전반에 걸쳐 비교적 안정적인 해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중앙부>
|
 <좌측 상단부>
|
 <최대 망원, F11>
망원부 F11영역에서는 광각부와 마찬가지로 해상력이 약간씩 떨어졌으며 최대 개방치에서 나타났던
색수차 역시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
 <중앙부>
|
 <좌측 상단부>
|
2. 감도별 노이즈
* 원본 100% 크롭, 원본 링크
ISO 감도 설정에 따라 발생되는 노이즈를 테스트했습니다. 설정 가능한 감도 수치는 ISO 80
/ 100 / 200 / 400 / 800 / 1600입니다. 후지는 노이즈 처리 기술력에서 다른 브랜드보다 유리한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5세대까지 개발된 Super HR CCD는 일반 CCD보다 면적대비 화소 밀집도가 높아 화소 열화 현상에 대한 부담을 줄였으며,
후지 DSLR 카메라 최상위 기종인 S3 Pro에 들어가는 IC회로를 하위 라인에도 적용시키고 있습니다. 이 IC 칩은 노이즈 제거 기능을 두
번에 걸쳐 수행하는데 리얼 프로세서 엔진과 연동돼 빠르고 신속하게 처리됩니다. |
 <ISO 80>
|
지난 상반기에서는 컴팩트 카메라인 파인픽스 F10이 이러한 노이즈 처리 방식을 도입해 컴팩트 카메라에서
고감도 촬영시 노이즈를 혁신적으로 감소해 호평을 받은 바 있습니다.
S9500에서도 이러한 노이즈 처리 기술이
그대로 도입돼 예상했던대로 훌륭한 노이즈 억제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측정결과 ISO 1600에서 이미지가 많이 거칠어졌지만 ISO 400은 물론
ISO 800까지도 무난한 화질을 보였습니다. |
 <ISO 100>
|
|
 <ISO 200>
|
|
 <ISO 400>
|
|
 <ISO 800>
|
|
 <ISO 1600>
|
4. 줌
S9500은 35mm
필름 카메라 규격으로 28 ~ 300mm까지 광학 10.7배 줌을 지원합니다. SLR 카메라와 같이 줌 링을 통해 수동식으로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최대 광각에서 최대 망원까지 줌 링을 돌리는 거리는 약 1/4바퀴 미만으로, 손목 움직임이 적게 들어 안정적인 촬영 자세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
28mm |
300mm |
5. 화이트 밸런스
S9500은 두가지 커스텀
화이트 밸런스와 3가지 형광등 화이트 밸런스를 포함해 총 9가지 화이트 밸런스 모드를 제공합니다. 이중 색온도 편차가 심한 형광등과 백열등 조명
아래에서 자동 / 프리셋 화이트 밸런스를 비교해본 결과 형광등 조명에서는 자동 화이트 밸런스가 흰색을 제대로 검출했지만 백열등에서는
색온도를 약간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
TOP |

S9500은 선예도가 우수한 화질을 보여줍니다. 기본 색감은 튀는 색상없이 무난한 편이지만 계조
표현이 부족해 하이라이트와 암부의 노출을 설정하기 어려웠습니다.









|
TOP |

|
장점
- 광학 10.7배 줌 - 렌즈 후드 기본 제공 - 우수한 노이즈 억제
성능 - SLR 스타일 조작 인터페이스
단점
- 광학식 손떨림 방지 기능 부재 - 퀵 뷰, 셀프
타이머, 삭제 인터페이스 불편 - 계조 표현 부족 - 내장 플래쉬 팝업시 충격
발생 |
후지 파인픽스 S9500은 35mm 필름 카메라 환산 28 ~ 300mm 초점거리를 지원하는 고배율 줌
모델로, SLR 카메라에 필적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갖춘 제품입니다.
최근 고배율 줌과 SLR
카메라 스타일 인터페이스를 채택하는 것이 하이엔드 카메라의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트렌드는 유저들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훌륭한 범용
렌즈를 사용하게 하며, 동영상 기능 제공, 시야율 100% 라이브 뷰 지원과 같은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면서 보급형 DSLR 카메라와 차별화된
영역을 구축합니다.
후지 S9500은 이러한 기본적인 트렌드를 바탕으로 이미 파인픽스 F10 등에서 선보인 바 있는
고감도 노이즈 억제 기술을 적용해 망원 줌 촬영시 발생하는 손떨림 문제에 대처했습니다. 하지만 감도차이는 미사하게나마 화질차이를
가져오기 때문에 광학식 손떨림 보정 장치 부재에 대한 아쉬움도 남았습니다.
S9500의 조작 인터페이스는
일장일단을 보여줍니다. 완전 수동식으로 개선된 줌 렌즈를 포함해 싱크로 슈 지원, 매크로 / 포커스 / 측광 모드 외부 노출은 촬영시 기본
설정을 신속하게 바꿀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하지만 별도 퀵 뷰 버튼 없이 재생 모드로만 촬영 화상을 확인해야 하는 점, 셀프 타이머와 이미지
삭제 기능을 메뉴 버튼을 통해 사용해야만 하는 점은 촬영 후 사진 파일 관리에 반거로움을
주었습니다.
화질부분에서는 F10에서 보여준 바 있는 노이즈 억제 성능을 유감없이 발휘했습니다. 하지만 계조
표현이 부족해 전체적으로 고른 노출을 표현하기 어려웠습니다.
S9500은 우수한 렌즈 성능과 고감도 활용폭이
넓은 기종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ISO 800에 해당하는 고감도에서도 비교적 깨끗한 화질을 구현하므로 다른 고배율 줌 모델에 비해
스냅기능에서 더 많은 활용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고배율 줌의 범용성에 신속한 스냅촬영을 원한다면 후지 파인픽스 S9500에 한 번 관심
가져보시기 바랍니다.
| |
TOP |
▶ 후지 파인픽스 S9500 품질평가단 사용기 바로가기
|
|
2005. 09. 27. 정성유 dcjsy00@empal.com | |